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었나 봅니다.
주변 상가 점포에 휴가 안내 표지판이 등장하고 바닷가에서 피서를 즐기는 사람들의 소식이 방송의 첫머리에 등장합니다. 여행 전문 블로거인 비프리박님 역시 휴가를 떠났습니다. 일년에 단 한번, 많은 사람들이 노는 것과 쉬는 것에 집중할 수 있는 공식적인 휴가시즌 입니다.
# 1
한 시민단체의 주관으로 정부가 정한 최저생계비로 한달 나기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정치인을 비롯해서 신문사 기자, 대학생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경험을 해보고 있습니다. 한겨레 신문을 통해서 매일 체험한 사람들이 내놓는 다양한 경험들을 접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과연 현실적인 삶을 누리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하면서 말이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난의 고통을 실감하며 먹는 것과 인간답게 사는 것이 얼마나 힘겨운 투쟁인지를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7천원짜리 외식을 하면서 가족이 굶을 것을 걱정하니 울음이 나왔다는 이야기도 있었구요. 정부가 정한 최저 생계비로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무모하고 힘겨운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물론 파란당의 모 의원처럼 거뜬히 버텨낼 수 있다는 사람도 있더군요. 거기다가 천원을 기부하는 센스까지 봤습니다. 우리 시대의 정치인이 얼마나 서민들의 고통을 함께 느끼고 있는지 실감하는 모습이었죠. 그들이 우리의 정치를 이끌어 가는 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없을 거라는 것도 확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보는 것과 체험하는 것은 다른 것이고, 체험하는 것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것은 다른 것입니다. 그 차이 조차 인정하려 들지 않는 정치집단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지 참 걱정스러웠습니다.
# 2
한달에 80만원의 급여를 받으며 힘겨운 삶을 살아가던 19살 소녀가 자살을 했습니다. 길지 않은 인생을 살면서 한번도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 보지 못했습니다. 힘겨워도 이겨내리라는 다짐도, 성실하고 열심히 살면 된다는 희망도 결코 소녀에게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일할 곳이 없어 힘겨워 하고 갈 곳이 없어 두려워 하던 소녀가 택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은 차디찬 강물이었습니다. 버티기도 힘든 세상을 구원해 줄 방법은 그것밖에 없었나 봅니다.
마르크스 철학에 심취했던 한 경제학자는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를 ‘복지’에 대한 인식이라고 말했습니다. 먹고 사는 작은 단위 경제에 대한 인간의 권리와 국가의 의무가 잘 유지되는 사회가 선진국이라고 말이죠. 경제 규모의 크기로 잣대를 삼는 것이 아니라 경제 주체의 삶의 질이 우선시 되는 사회가 잘 사는 나라 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경제적 약자를 인식하고 보호하는 국가의 복지에 대한 정책이 자본주의 사회를 건강하게 만든다고 그는 말합니다.
그는 자유와 평화가 공존하는 건강한 자본주의 사회의 척도를 청년실업률과 최저임금 보장으로 꼽았습니다. 우리가 선진국의 진입을 앞두고 비교하는 규모의 경제학이나 평균 소득을 따지는 것 하고는 거리가 멉니다. 그의 기준으로 볼 때 우리는 아직도 선진국의 문턱에도 들어서지 못했고, 그것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정치적 행위도 미흡합니다. 그리고 그가 우려했던 '젊은이들의 자살'과 '부의 양극화' 현상만 남아있을 뿐이죠.
'사는 이야기 > 길을 걷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는 스스로 길을 만든다. (14) | 2010.08.04 |
---|---|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께요 (12) | 2010.07.27 |
고갈, 죽거나 혹은 죽이거나 (10) | 201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