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3

조갑제 "MBC를 고소하라~" - 우리는 전쟁중? 보수언론의 반격 조선일보의 어용화에 앞장섰던 조갑제씨가 요즘 시국에 대해서 한마디 하셨다. 사람들이 서로 다른 정치 논리를 가지고 있겠지만, 이 사람의 가장 큰 문제는 친미-반미,좌익-우익 등의 이분법 이다. 무엇이든 둘로 나누어서 적으로 몰아 세우는 논리를 가지고 있다. 아마도 스스로를 대단한 보수 지식인쯤으로 여기는가 보다. " 조갑제 ‘광우병 괴담’ 듣고만 있는 이명박 정부 맹비난 "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검증 안 된 주장들’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가 이명박 정부의 ‘무(無)대응’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조 전 대표는 2일 자신이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게재한 글(제목: MBC에 항복한 이명박의 ‘가짜실용’)에서 “국민을 보호해야 할 대통령이 광기 서린 선동방송에 노출되어 큰 피.. 2008. 5. 2.
찝찝해도 쳐드세요. 광우병 정부의 공식입장 [찝찝해도 쳐 드시랍니다] [죽고 사는건 사람팔자 거든요] "미국산 쇠고기는 미국 전체 국민들은 물론 미국을 여행하는 많은 여행객들이 먹고 있습니다" "국제적 기준과 과학적 근거에 따라 이뤄졌음에도 일부에서 확실한 근거없이 제기하는 안정성 문제가 안타깝습니다." 국민들의 광우병 논란에 대한 정부의 공식 발표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으로 시작되는 정부의 공식 발표가 믿기지가 않는다. 내용도 수사의 나열과 기존입장을 되풀이 한것일뿐, 해명과 개선의 여지는 전혀 없다. 이쯤되면 막가자는 말이나 다름없다. 국민적 의혹에 대해서는 검토의 가치조차 없다는 것이다. 하긴, 불법 위법을 해도 자기들만 용서가 되는, 도덕성 상실 정부가 하는 말이니 누가 믿겠는가. 이명박 대통령은 잘못된 상식이 알려져 국민들이 오해.. 2008. 5. 2.
삶속에서 사랑을 말하는 이정하 시인 - 아직 피어있습니까, 그기억 인간이 살아가면서 사랑한다는 것, 그리고 지나온 기억들을 되돌아 볼 수 있다는 것은 삶에 대한 여유로움 이자 다가올 시간에 대한 설레임이다. 산다는 것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는 참 많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물음은 끝이 없다. 이것은 불완전한 존재인 인간에게 주어진 끝없는 숙명일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써 소유에 대한 욕심과 경쟁을 향한 끝없는 도전은 계속 되고 있다. 그러면서 문득 "나는 이렇게 사는 것이 행복한가" 라는 질문을 던져 본다. 그리고 나라는 존재,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존재를 얼마나 이해하고 사랑 하면서 살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잊고 지냈던 그러한 물음에 대하여 이정하 시인 은 사랑이라고 말한다. 사랑에 대한 기억들, 잊혀진 기.. 2008. 5. 2.
서민으로 산다는 것 - 40대 가장의 이야기 어느 40대 가장의 이야기. 맞벌이 하시는 부모님 덕분에 어릴때 부터 독립심을 키워야 했다. 6살 어린 동생과 대학에 입학 할때 까지 한방을 써야 했다. 조그마한 식당을 하셨던 부모님은 아침 7시에 출근해서 저녁 10시가 되어야 돌아왔다. 그래도 장사가 잘 되는 날에는 양손가득 맛난것을 사가지고 오셨다. 일찍 잠든 동생은 부모님이 오는 소리에 벌떡 일어나 재롱을 떨었다. 밤 10시가 넘은 시각에 재잘거리며 먹을 것을 먹는 우리 형제들이 마냥 이뻤든지, 아버지의 입가엔 연신 미소가 흘렀다. 고향을 떠나온 도시의 외로움 속에서도 부모님은 늘 희망을 이야기 했다. 학원과 과외가 성행하던 시절, 넉넉하지 못했던 부모님은 한숨을 자주 쉬셨다. 남들이 과외를 받을 때 나는 6살 어린 동생의 저녁을 챙겨 주면서 혼자.. 2008. 5. 2.